ENG
Hong, Ji-young is an artist thriving to negate prejudice through art, using the concept of thermal imaging cameras to remove "epidermis" and instead focus on the inner appearance of the world.
I try to think outside the box and view the inner workings of humankind differently and interpret in my artworks with various colors.
I used to have habit of biting side flesh parts of tip of fingernails. When I observed my palm after biting 10 fingers, I could see that each finger had two concave grooves. In fact, no pain was felt maybe because I stopped biting just at the limit. Instead, I remember that I was busy and happy with making twenty grooves when the flesh started growing again.
The flesh I used to swallow is so-called “epidermis”. Epidermis is a coined word between “the outer” meaning “to reveal outside” and “dermis” connoting “skin” and “layer”. This means an organic body or external skin which embraces the outward part of a living thing. In general, epidermis is considered outer skin of plants and animals. Epidermis in plants plays a role in protecting and regulating the composition of inner side of plants. The cuticle meaning cells which embrace the upper part of nails, as in the same context as epidermal cells of leaves, prevents human body from evaporation and protects it from outside.
Epidermis observed in my works is motivated from my habit of biting side flesh of fingernails of my childhood caused by psychological restlessness which turned into a ludic act in the end. The side flesh of nails can be classified as animal epidermis like cuticles and this means skin tissue covering skin surface composed of 0.3 mm of thickness void of blood vessel and nerve. Therefore, the concept of epidermis shown in my works includes outer skin and layer of plants and animals too. However, they are now a superficial tool I want to delete. This is because the thoughts of observing things have been changed into superficial perspective by the influences of media. Moreover, epidermis is not only a symbolic word implying lop-sided way of thinking toward external appearance of the modern society but also key material of my works.
Today, mass media intends to brainwash appearance-oriented views (lookism) to people in a subtle and unconscious way. Like this, it is the word “epidermis” that I intended to delete external information right from the point in which outer beauty is about to be carved as a generalized image. This way, my epidermis is changed as a superficial instrument wishing to delete the tool of a ludic act.
The shower of non-stop media pouring every single moment attracts attention of people and speedily spreads by gathering all kinds of stimulating senses like visual and auditory senses. Even against their will, people tend to absorb what is said, written and done in the media with receptive attitude. For this reason, the reversal of the order leads information to be delivered in a unilateral way away from bilateral communication. Finally, media makes our fundamental thoughts keep hovering around or cease to exist.
Hereby, my works starts from “Epidermis Mart” where epidermis can be purchased right outside the door. In other words, my works explored the essence by way of expressing virtual world of which the images of external figures are already deleted.
The series “Epidermis World” and “Epidermis TV” based on thermal sensor(imaging) cameras which started from 2014 want to tell about the current era of media.
My artworks entitled ‘Epidermis World’ have been motivated from the image taken by thermal imaging camera. The world we see in our eyes has been overlapped with the image shown in a form of thermal imaging.
The bright and dark colors of thermal imaging shows the inner side of the object and the external appearance has been represented by the actual colors that are visible to us.
In other words, I tried to remove prejudice among people based on race and gender and focus more on the inner side of us by exploring with various forms of color palette. The virtual world simplified in ambiguous colors and forms, and the world we see through our own eyes represent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appearances, respectively.
The world seen by thermal imaging cameras becomes absolutely simplified in ambiguous colors and forms by the heat and it does not depend on infinite information poured from the media.
In addition to this, the epidermis of lips has been used as an abstractive expression in terms of showing the inner side of us.
Thus, my work shows the world beyond race and gender and explores the inner side of humankind with various colors.
KOR
나는 우리 사회가 사람을 바라보는 보편적인 시각과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인간 내면의 본질을 탐색하고 이를 나만의 시각으로 재해석해 다채로운 색감으로 풀어 보고자 한다.
"우리가 서로를 바라보는 보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인간의 내면을 저만의 색감으로 담아 보았어요."
손톱 끝부분의 옆 살을 뜯어먹는 버릇이 있었다. 열 손가락을 뜯고 손바닥을 보면, 오목한 홈이 손가락 당 두 개씩 생긴다. 딱 그 지점까지만 뜯어서인지 고통은 없다. 오히려 살이 다시 오를 때마다 신나게 스무 개의 홈을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렇게 생각 없이 뜯고 삼켜버린 살들은 ‘표피(表皮, Epidermis)’였다. 표피(表皮, Epidermis)는 ‘외부로 드러 내다’의 표(表)와 ‘가죽, 껍질’을 내포하는 피(皮)로 구성된 단어로써 살아있는 생명체의 외부를 감싸는 조직체 혹은 겉껍질이다. 또한, ‘Epidermis’는 혈관과 신경이 없는 약 0.3mm의 두께로 구성된 피부의 표면을 둘러쌓고 있는 피부조직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에서의 표피의 역할은 식물 내부의 구성을 보호하며 조절한다. 손톱 윗부분을 감싸고 있는 세포를 의미하는 큐티클은 잎의 표피 세포에서와 같은 맥락으로, 잎에서나 사람의 신체에서도 수분 증발을 막고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이렇게 큐티클은 손톱 옆 살이라 말할 수 있다.
작품에서 언급되는 ‘Epidermis’는 어렸을 때 정신적 초조함으로 인한 손톱 옆 살을 뜯어먹는 습관적 행동으로부터 유희적 도구가 된 행위까지의 소재로 출발된다. 그러나 미디어가 급격히 발달하면서 삭제해 버리고 싶은 피상적 도구 변질이 된다. 따라서 본인에서의 표피는 유희적 행위의 도구에서 삭제하고 싶은 피상적 도구로 변질된다. 그렇게 본인 작품에서의 표피의 개념은 생명체의 겉껍질을 말하며 현대사회가 바라보는 외형에 대한 편견에 대해 말하는 핵심 매개체이다.
오늘날의 미디어에서는 보이는 것에 대해 정해진 틀을 심어주는 매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작품은 미디어에서 나타난 외형을 일반화된 이미지로 각인시키는 지점에서 외형의 정보를 삭제하고자 표피(Epidermis)로 말한다.
매일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정보의 바다, 미디어는 시각과 청각 등 자극할 수 있는 감각들을 총동원하여 사람들을 주목시키며 확산된다. 사람들은 본인의 의지가 아니더라도 미디어에서 나오는 글들과 말들, 그리고 행동들을 흡수하며 수용적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때로는 주객전도가 되어 쌍방 소통이 아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데, 결국 미디어는 사람의 근본적 사고를 제자리에 맴돌게 하거나 소멸된다.
나의 작업은 집문 밖으로 나가면 표피를 매매할 수 있는 <Epidermis Mart>로부터 시작된다. 즉, 외형의 이미지를 삭제한 가상세계를 표현하여 외형이 아닌 내부의 본질을 탐구한 작업이다.
2014년부터 시작한 ‘Epidermis’ 시리즈는 열화상 이미지를 활용하거나 표피의 형상을 그려 미디어의 현시대를 말하고자 한다.
'Epidermis world' 와 'Epidermis TV’ 시리즈는 열화상 에서 보이는 이미지, 자신의 경험, 사회적인 이슈가 모티브(motive)가 된 작품이다. 실제로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모습과 열화상에서 보이는 이미지를 중첩하여 시각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열화상에서 보이는 따뜻하고 차가운 색을 표현하여 내면의 색과 실제로 보여 지는 색으로 외면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우리가 사람을 바라보는 인종, 성별 등의 시각적인 편견을 삭제하여 내면의 본질을 묻고 외면과 함께 표현한다. 모호한 형태와 색으로만 표현된 가상의 모습과 실제 눈으로 보이는 사람의 사실적인 현실의 모습의 표현은 내면과 외면을 나타낸다. 열화상으로 보여 지는 세상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무한한 색에서 벗어나 단축된 색으로 구현되며, 미디어에서 나오는 무한한 정보가 아닌 생명체의 열에 의한 색과 모호한 형태로 단순화된다. 이는 가시적인 가시광선의 세상에서 벗어나 비가시적인 적외선의 세상을 단순하고 함축된 색감과 열로 표현하여 내면을 바라보고자 한다. 또한, 입술의 표피를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등 실제로 볼 수 있는 외형의 빛과 실제로 볼 수 없는 내면의 빛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나의 작업은 외형이 흐려진 이미지를 탐험하여 내면을 묻고 인종, 성별 등의 구분으로부터 벗어난 세계를 표현한다.